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s #네트워크
- React.js
- #프로젝트캠프 #프로젝트캠프후기 #유데미 #스나이퍼팩토리 #웅진씽크빅 #인사이드아웃 #IT개발캠프 #개발자부트캠프 #리액트 #react #부트캠프 #리액트캠프
- App Runner
- 해시
- 개발자부트캠프
- BFS
- IT개발캠프
- CS
- 타입스크립트
- 네트워크
- Algorithm
- 인사이드아웃
- 프로젝트캠프
- react
- 메모리
- typescript
- 유데미
- html
- ip
- 자바스크립트
- 알고리즘
- react-query
- 스나이퍼팩토리
- 프로세스
- 웅진씽크빅
- 리액트
- 스레드
- javascript
- 프로그래머스
- Today
- Total
목록CS (18)
Bin's Blog
1️⃣ HTTP/1.0 👉 HTTP/1.0은 기본적으로 한 연결당 하나의 요청을 처리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RTT(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하고 나서 출발지로 돌아오기까지 걸리는 시간이며 패킷 왕복시간) 👉 서버로부터 파일을 가져올 떄마다 TCP의 3-way-handshake를 계속해서 열어야 하기 때문에 RTT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 TCP란?(지난 글 보기) 오늘의 CS(네트워크 - TCP/IP 4계층 모델(전송계층)) 전송계층은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연결 지향 데이터 스트림 지원, 신뢰성, 흐름 제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과 인터넷 계층 사이의 데이터가 전달될 hobin49.tistory.com 🛠️ RTT의 증가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 매번 연결할 때마다 ..
🤔 HTTPS란? 👉 HTTPS는 애플리케이션 계층과 전송 계층 사이에 신뢰 계층인 SSL/TLS 계층을 넣은 신뢰할 수 있는 HTTP 요청을 말한다. 이를 통해 "통신을 암호화 한다" 📚 SSL/TLS 👉 SSL(Secure Socket Layer)/ TLS(Transport Layer Security Protocol)은 전송 계층에서 보안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다.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할 때 SSL/TLS를 통해 제 3자가 메시지를 도청하거나 변조하지 못하도록 막는다. 👉 SSL/TLS를 통해서 공격자가 서버인 척하며 사용자 정보를 가로채는 네트워크 상의 인터셉터를 방지할 수 있다. 👉 SSL/TLS는 보안 세션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암호화하며 보안 세션이 만들어질 때 인증 메커니즘, 키 교환 암호화..

❗️요즘 취업 공고를 보면 적지 않게 RESTful API에 대한 이해도를 요구하는 회사들을 볼 수 있다. 최근 프로젝트를 하면서도 RESTful API에 대해서 얘기가 나왔다. 솔직히 RESTful API가 뭔지 모른다. 그래서 그것이 알고싶다. 오늘은 제대로 짚고 넘어가자. 🤔 REST API란? 📖 먼저, API가 뭔지 살펴보자! 👉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컴퓨터 프로그램들이 서로 대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API는 프로그램들이 서로 정보를 요청하고 응답할 수 있게 해주는데, 이것은 마치 레스토랑에서 내가 점원이나, 키오스크를 통해 음식을 주문하면 요리사가 음식을 만들어서 우리는 음식을 먹는다 이러한 과정과 비슷하다. 📚 REST API..

🤔 IPv4 vs IPv6 👉 IPv4는 32비트를 8비트 단위로 점을 찍어 표기한다. 예를 들어) 123.45.67.89 같은 방식으로 IP주소를 나타낸다. 👉 IPv6는 64비트를 16비트 단위로 점을 찍어 표기한다. 예를 들어) 2001:db8::ff00:42:8329 같은 방식으로 IP주소를 나타낸다. 👉 현재 추세는 IPv6로 가고 있지만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주소 체계는 IPv4이다. 1️⃣ 클래식 기반 할당 방식 👉 IP 주소 체계는 과거를 거쳐 발전해오고 있으며 처음에는 A,B,C,D,E 다섯 개의 클래스로 구분하는 클래스 기반 할당 방식(classful network addressing)을 썼다. 앞에 있는 부분을 네트워크 주소, 그 뒤에 있는 부분을 컴퓨터에 부여하는 주소인 호스트 주..

🤔 홉바이홉 통신이란? 👉 IP 주소를 통해 통신하는 과정을 홉바이홉(hop by hop) 통신이라고 한다. 👉 홉은 쉽게 말해 통신망에서 각 패킷이 여러 개의 라우터를 건너가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 예시를 들면, 서울에서 부산에 편지를 보낸다고 가정하자, 우체통에 편지를 넣으면 직원이 그 편지를 우체통에서 가져와 가장 가까운 우체국으로 먼저 간다. 이것이 첫 번째 홉이다. 그 다음에 큰 도시나 허브로 이동하게 된다. 이것이 두 번째 홉이다. 그 후 편지는 다른 도시나 지역의 허브로 이동하고, 마지막으로 친구의 집이 있는 부산의 우체국으로 전달된다. 이것이 세 번째 홉이다. 그리고 친구의 집으로 직접 배달하게 되는게 마지막 홉이다. 👉 수많은 서브네트워크 안에 있는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

🤔 ARP란? 👉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다.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은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IP주소를 물리적인 MAC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 예를 들어, 컴퓨터 A가 컴퓨터 B에게 데이터를 보내려고 하면, 컴퓨터 A는 먼저 컴퓨터 B의 IP 주소를 알아야 한다. 그런데 실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B의 MAC 주소가 필요하다. 이때 ARP가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는 반대로 실제 주소인 MAC 주소를 가상 주소인 IP 주소로 변환하기도 한다. 👉 장치 A가 ARP Request 브로드캐스트를 보내서 IP 주소에..
1️⃣ 인터넷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 인터넷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로 라우터, L3 스위치가 있다. 1️⃣ - 1️⃣ 라우터 👉 라우터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 분할, 구분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장치끼리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패킷 소모를 최소화하고 경로를 최적화하여 최소 경로로 패킷을 보내는 라우팅을 하는 장비이다. 1️⃣ - 2️⃣ L3 스위치 👉 L3 스위치란 L2 스위치의 기능과 라우팅 기능을 갖춘 장비를 말한다. L3 스위치를 라우터라고 해도 무방하다. 👉 L3 스위치는 데이터 링크 계층 (레이어 2)에서의 스위칭 기능과 네트워크 계층(레이어 3)에서의 라우팅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 라우터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라우팅과 하드웨어 기반의 라우팅을 하는 것으..
1️⃣ 네트워크의 기기의 처리 범위 👉 네트워크 기기는 계층별로 처리 범위를 나눌 수 있다. 물리 계층을 처리할 수 있는 기기와 데이터 링크 계층을 처리할 수 있는 기기 등이 있다. 👉 상위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는 하위 계층을 처리할 수 있지만 그 반대는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L7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로, 그 밑의 모든 계층의 프로토콜을 처리할 수 있다. 하지만 AP는 물리 계층 밖에 처리하지 못한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L7 스위치 인터넷 계층: 라우터, L3 스위치 데이터 링크 계층: L2 스위치, 브리지 물리 계층: NIC, 리피터, AP 2️⃣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 스위치는 여러 장비를 연결하고 데이터 통신을 중재하며 목적지가 연결된 포트로만 전기 신호를 보내 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