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n's Blog

오늘의 CS(네트워크 - 병목현상) 본문

CS

오늘의 CS(네트워크 - 병목현상)

hotIce 2023. 5. 25. 09:05
728x90

지난 시간에 네트워크 구조라고 일컫는 토폴로지에 대해서 살펴봤다. 오늘은 토폴로지의 중요한 이유인 병목 현상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Q. 병목현상이란? 

-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 가게에서 아이스크림을 만드는 과정을 생각해보자. 아이스크림을 젓는 사람이 빨리 젓고, 컵에 담는 사람이 빠르게 담는데, 계산하는 사람이 느리면, 고객들은 계산을 기다리는 동안 오래 기다려야 합니다. 여기서 계산되는 과정이 병목이 되는 것이다. 

 

즉,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한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느리게 작동하면, 그 느린 부분 때문에 작업의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을 일컫는다. 

 

더 전문적으로 말하면 전체 시스템의 성능이나 용량이 하나의 구성 요소로 인해 제한을 받는 상황이다. 서비스에서 이벤트를 열었을 때 트래픽이 많이 생기고 그 트래픽을 관리하지 못하면 병목 현상이 생겨 사용자는 웹 사이트로 들어가지 못한다. 

 

Q. 토폴로지와 병목현상과의 연관성

병목 현상이 일어나서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할 때 지연 시간이 길게 발생하고 있다고 해보자. 관리자가 지연 시간을 짧게 만들기 위해 대역폭을 크게 설정했음에도 성능이 개선되지 않았다. 그래서 관리자는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어떻게 되어 있나 확인햇고, 서버와 서버간 그리고 게이트웨이로 이어지는 회선을 추가해서 병목 현상을 해결했다. 이처럼 네트워크가 어떤 토폴로지를 갖는지, 어떠한 경로로 이루어져 있는지 알아야 병목 현상을 올바르게 해결할 수 있다. 

728x90